전체 글(842)
-
효율 / 20250203 / 월요일
설도 지나고 오늘은 입춘이다봄이 서는 날이다오늘 부터 입춘 추위가 시작될 모양이다창원지역이 영하 8도까지 내려간다고 하니 전방은 어지간이 춥겠지 기온이 내려가면 세상 모든 사람들이 춥다고 여기고 따스하게 하기 위해 노력을 한다그 노력을 하지 않으면 얼어 죽는다수십년 전 이야기를 꺼내볼까홍콩에 한파가 들었는데 영상 4도까지 내려 간 적이 있다고 하는데그날 저녁 40여명이 동사를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이것은 찾아 보면 펙트일 것이다 홍콩은 아열대 기후로 일반적으로 온화한 겨울을 지내지만, 드물게 한파로 인한 동사 사례가 발생한 적이 있습니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2010년 12월: 최저기온이 5.8℃까지 떨어지면서 노숙자 2명을 포함한 노인 5명이 저체온증으로 사망했습니다.etoday.co...
2025.02.03 -
법이 흔들리면 나라가 흔들린다 / 20250202 / 일요일
법이 흔들리면 나라가 흔들린다 나라가 흔들리면 국민은 어지럽고 정신이 없다이렇게 국민을 힘들게 하는 것이 자칭 많이 배우고 똑똑하고 지도자층이고 정치한다는 자들이 해야 할 도리인지 스스로에게 물어보고 만천하에 다 물어봐라사법시험 패스하고 법연구하는 자들은 들어시오한글부터 공부하라헌법에 모든 국민은 법앞에 평등하다라고 되어있다이것을 읽고 이해하지 못하는 자들이 어찌 법을 논하고 죄를 논한단 말인가 법꾸라지처럼 법을 빠져나갈 궁리하는 것이 법 연구인가 물어봅니다...................................................................하도 답답해서 옮겨본다대한민국 헌법 제11조 제1항에서 평등권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모든 국민이 법 앞에 평등한가 ..
2025.02.02 -
제사 / 20250201 / 토요일
어제 같이 시작된 2025년어느새 한달이 훌쩍 지나고 2월이 되었다모두가 극치를 향해 달려가는 달이다추위는 마지막을 뽐내기가도 하듯 설칠 것이고인간들도 이리 저리 무리를 지어 저마다 할 짓 못할 짓 온갖 일들이 일어나며 모두가 모르는 사이에 큰 에너지의 흐름은바른 길로 찾아 가게 될 것이다오늘의 공부는 제사다먼저 사전적 의미를 살펴본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제사(祭祀)제사제 제사사신령이나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나타냄. 또는 그런 의식. ≒제, 향사.제사를 드리다.제사를 지내러 고향에 내려갔다.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빌면 비를 내려 주고…. ≪문순태, 타오르는 강≫마을 사람들은 한경이네 일을 도와주려 애썼고 제사를 모시거나 생일을 지낸 뒤면 첫째로 음식을..
2025.02.01 -
춘첩 / 20250131 / 금요일
어느새 1월의 마지막 날이자 긴긴 설 연휴가 끝나고 새로이 시작하는 첫날이다오늘의 공부는 춘첩이다먼저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고 어떠한 종류들이 있는지 헤아려보자춘첩(春帖)봄춘 휘장첩『민속』 입춘 날 대궐 안 기둥에 써 붙이던 주련(柱聯). 연잎과 연꽃의 무늬가 있는 종이에 제술관이 지은, 축하의 시를 써서 붙였다. =춘첩자.춘접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 펴보자춘접의 종류는 대략 4자 사자 성어나 여섯자 여덟자 등의 사자 성어로 되어 있으며주로 4자 사자 성어를 사용하고 있다4자 춘첩 (四字 春帖)萬事如意 (만사여의) – 모든 일이 뜻대로 되기를福壽康寧 (복수강녕) – 복과 장수, 건강과 평안을新春大吉 (신춘대길) – 새봄에 큰 길운이 깃들기를家和萬事成 (가화만사성) – 가정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
2025.01.31 -
좌우명 / 20250130 / 목요일
6일 간의 긴긴 설 연휴 마지막 날이다쉬면서 제각각 많은 일을 했으리라 그리고 새로운 해 을미년을 맞이하여저마다의 소망과 계획을 세웠을 것이다오늘은 새롭게 시작되는 을미년을 이끌고 갈 각자의 메시지들 중 어떤 것들이 있을까 하고 공부를 해본다좌우명(座右銘)자리좌 바를우(오른쪽우) 새결명늘 자리 옆에 갖추어 두고 가르침으로 삼는 말이나 문구.좌우명으로 삼다.그는 소학생처럼 벽에다 좌우명을 써 붙였다. ≪이무영, 제일 과 제일 장≫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좌우명이란좌우명의 의미와 유래좌우명(座右銘)은 한 사람이 평생 신념으로 삼고 따르는 짧은 문구를 뜻하며,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좌(左, 왼쪽) 우(右, 오른쪽)에 두고 새겨보는 명(銘, 새긴 글)"이다. 이는 고대 중국에서 유래했으며, 특히 후한(後..
2025.01.30 -
정월 초하루 / 20250129 / 수요일
오늘은 을사년 정월초하루다엄청 시끄러 정신이 혼미할 정도의 날들이 지나갔다세상은 늘 음양이 교차한다산등선이 있으면 골짜기가 있고 산이 높은 만큼 골도 길다그리고 반드시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다바다만 있는 것이 아니고 육지도 있고 양지가 있으면 음지도 있다이 모든 것을 음양의 조화라 말하고 그 운행을 오행이라 부른다 동양에서는 음양 그리고 목화 토 금수서양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그들이 알고 만들었는지는 글쎄요입니다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일월 화수목금토일은 양이요 음은 월이다그리고 오행은 화수목굼토 다소 순서가 복잡해 보이기는 하다 내가 풀어서 이해되게 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대한민국에서는 정월초하루를 설이라 한다설 : 「1」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정월 초하룻날..
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