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50)
-
무리 / 20240615 / 토요일
간밤에 소나기를 내려 갈증에 타들어 가는 대지의 목을 축여 준 대자연에 감사한다어제 적어야 할 글을 오늘 적습니다지난 목요일 80 중반의 큰형님과 형수님, 그리고 우리 가족과 동생 삼 형제가 2박 3일로 통영 거제 쪽으로 나들이를 다녀와글을 적을 시간이 없어 어제는 금요일 것을 적고 오늘 어제 글을 적습니다나중 오후에 보고 오늘 것을 적어야겠습니다....................................................오늘의 공부는 무리다흔히 무리는 혼자가 아닌 떼를 지은 것을 말하고또 다른 의미는 자신의 능력을 넘어 과하게 에너지를 사용하여영혼이나 육신이 버거운 상태를 말한다먼저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자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무리 1사람이나 ..
2024.06.16 -
지식인 / 20240614 / 금요일
오늘은 지식인이 어떠한 것인지 풀어본다먼저 사전적 의미를 짚어보자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지식인(知識人) 알지 알식 사람인일정한 수준의 지식과 교양을 갖춘 사람. 또는 지식층에 속하는 사람.우리나라의 경우는 그 전문가가 좀처럼 지식인으로 발전하지를 못하고 언제까지나 전문가의 그것에 머물러 버리는 것이 한 특징이라고 그는 말한다. ≪이청준, 조율사≫지식이 인격과 단절될 때 그 지식인은 사이비요 위선자가 되고 만다. ≪법정, 무소유≫지식(知識) 알지 알식「1」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배우거나 실천을 통하여 알게 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지식을 쌓다. 지식을 얻다.사실 책이란 한낱 지식의 매개체에 불과한 것, 거기에서 얻은 것은 하나의 분별이다. ≪법정, 무소유≫「2」 알고 있..
2024.06.15 -
6월 / 20240613 / 목요일
오늘의 공부는 6월이다6월이 주는 메시지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풀어본다먼저 6월은 녹음의 계절 5월을 지나 모든 것을 성장시키는 계절이다3월에 싹을 내어 4월에 형태를 잡고 5월에 모든 준비를 마치고 6월과 7월에 최대한 키우고 성장시켜8월에 수확을 시작한다이것이 북위 20~45도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다세계 4대 문명이 꿈틀거린 위도이기도 하다우리나라에는 6월이 좀 특이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민족의 상잔인 625전쟁이 있었다꺼져가는 자유민주주의를 구해준 세계 젊은이들이 있다부산에 있는 유엔 묘지가 그 대표적이다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는 것이다우리나라가 지구상에 존재한다면 그 고마움과 감사를 잊어선 안된다그 어느 나라 젊은이들이 아무런 대가도 없이죽음으로 지켜준 나라가 있었는가이것을 모른다면 대한민..
2024.06.13 -
잘살기 / 20240612 / 수요일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일까수많은 사람들이 모두가 다 자신의 말이 맞고 옳다고 살고 있다그리고 누가 이렇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이라고 하면응하고 긍정의 답은 내고 동조하는 것 같으나실은 귀찮아서 그랬을 뿐 그 누구도 남의 삶이 옳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그렇다면 왜 이런 화두를 두고 풀고자 할까바르게 가지 않으면 지금의 어려움이나 아픔에서 절대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세상의 모든 것은 법칙에 따라 움직이는데인과와 인연이 그 첫째인데 원인이 있기에 결과가 있다원인 없는 결과는 애초부터 없다그리고 그로 인해 생겨나는 관계가 인연이다세상의 모든 문제도 똑같은 원리에서 출발한다3:7의 자연법에 의해36번까지 문제가 있음을 아려주는데도 모르고 산다그래서 36을 탈출하라 벗어나라고 하는 숫자가 된 것이다37..
2024.06.12 -
기도와 축원 / 20240611 / 화요일
기도는 무엇이며 축원은 또 무엇인지 공부를 해봅니다먼저 사전적 의미를 찾아봅니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기도(祈禱) 빌기 빌도인간보다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어떠한 절대적 존재에게 빎. 또는 그런 의식. ≒도기, 도이.간절한 기도. 기도를 올리다. 그의 쾌유를 위해 신에게 기도를 드렸다.저의 기도를 들어주십시오.밤새 흐느끼며 하는 그녀의 기도는 정직하고도 처절했다. ≪박완서, 미망≫「비슷한 말」 기구(祈求), 기망(祈望), 기원(祈願)축원(祝願) 빌기 바랄원「1」 희망하는 대로 이루어지기를 마음속으로 원함.어머니는 축원대로 아들이 잘되기를 바랐다.「2」 『불교』 부처에게 축원하는 뜻을 적은 글. =축원문.「3」 『종교 일반』 신적 존재에게 자기의 뜻을 아뢰고 그..
2024.06.11 -
깨달음과 해탈 / 20240610 / 월요일
오늘의 공부는 깨달음과 해탈이다깨달음은 무엇이며 해탈은 무엇일까수행을 하는 사람과 道를 찾는 사람의 십중팔구가 입에 달고 사는깨달음은 무엇이며 해탈은 무엇인지 알아보자먼저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자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깨달음생각하고 궁리하다 알게 되는 것. ≒깨도.깨달음을 구하다. 깨달음을 이루다.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다.그는 오랜 명상 끝에 큰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해탈(解脫)「1」 『불교』 번뇌의 얽매임에서 풀리고 미혹의 괴로움에서 벗어남. 본디 열반과 같이 불교의 궁극적인 실천 목적이다. 유위(有爲) 해탈, 무위(無爲) 해탈, 성정(性淨) 해탈, 장진(障盡) 해탈 따위로 나누어진다. ≒도탈.수도승은 해탈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 끊임없는 수행을 한다.「2」 얽매임에..
2024.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