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15. 13:59ㆍ카테고리 없음
오늘은 지식인이 어떠한 것인지 풀어본다
먼저 사전적 의미를 짚어보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지식인(知識人) 알지 알식 사람인
일정한 수준의 지식과 교양을 갖춘 사람. 또는 지식층에 속하는 사람.
- 우리나라의 경우는 그 전문가가 좀처럼 지식인으로 발전하지를 못하고 언제까지나 전문가의 그것에 머물러 버리는 것이 한 특징이라고 그는 말한다. ≪이청준, 조율사≫
- 지식이 인격과 단절될 때 그 지식인은 사이비요 위선자가 되고 만다. ≪법정, 무소유≫
지식(知識) 알지 알식
「1」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배우거나 실천을 통하여 알게 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
- 지식을 쌓다. 지식을 얻다.
- 사실 책이란 한낱 지식의 매개체에 불과한 것, 거기에서 얻은 것은 하나의 분별이다. ≪법정, 무소유≫
「2」 알고 있는 내용이나 사물.
- 사전 지식. 전문 지식. 기초 지식. 예비지식을 갖추다.
- 국정 각 분야에 대한 그의 해박한 지식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3」 『불교』 ‘벗’을 이르는 말. 아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그 사람이 착한 사람으로서 세상을 올바르게 지도하면 선지식이라고 하고, 나쁜 사람이면 악지식이라고 한다.
「4」 『철학』 인식에 의하여 얻어진 성과. 사물에 대한 단편적인 사실적ㆍ경험적 인식을 말하며, 객관적 타당성을 요구할 수 있는 판단의 체계를 이른다.
교양(敎養) 가르칠 교 기를양
「1」 가르치어 기름.
- 교양 사업.
- 오전의 정치 교양이 끝나고 오후에는 토론이 있을 예정이었다. ≪황석영, 무기의 그늘≫
「2」 학문, 지식, 사회생활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품위. 또는 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
- 교양을 쌓다. 교양이 높다. 교양이 있다.
지시란 말도 지식인이라는 말도 교양이라는 말도 참 쉽다
일정한 수준의 지식과 교양을 갖춘 사람을 지식이라고 하니
그 일정한 수준이란 것이 어떤 것일까
언론 앞에서는 비굴할 정도로 굽신거리고
국민 앞에서는 안하무인으로 사는 것이 지식인인고 지도자인가
지식인이란 쉽게 말해 좀 안다는 사람들이다
알면 어떻게 해야 하나
아는 것으로 남을 이용하고 국민의 피와 땀인 혈세를 초대로 쓰는 것이 지식인이고 지도자일까
....................
지식인이란 통상적 사람들 보다 더 많이 안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더 많이 안다면 어떻게 해야 지식인일 가
천하 못난 사람도 모르는 사람도 존중하고 인정할 줄 아는 사람이
진정한 지식인이다
상대가 어떠한 말과 행동을 해도
이해를 하고 왜 그런지를 알고 이해되게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지식인이다
그런데 어떠한가
작금의 지식인과 지도자라는 이들의 말과 행동을 보면
참으로 내일이 암담하다
전부 잘난 체 만하고 상대와 일반 국민을 무시하고 이용하려고 하고
깔고 뭉개고 군림하려고 하는 자들만 득실거리고 있다
제대로 정신 줄 차리고 사는 사람이 등신이 되는 세상
하늘이 그대로 두고 볼 것인가
절대 아니다
처절하게 돌려줄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잘해라
세상사 그 어떠한 사람의 일거수일투족을 다 대자연은 보고 있다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일들을 만들고 있다
세상에 보이고 들리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으며
그것을 상대에게 이해되게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진정한 지식인이며 깨달은 자이고
지도자다
자신을 아직도 깨닫지 못한 자는
나대지 말고 죽어라 공부하고 노력하는 길밖에 없다
그리고 지식을 갖추고 나서도
상대와 사회와 나라를 위해 일하지 않고
자신과 자신의 가족과 집단만 잘 먹고살려고 하는 자
지금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머지않아 조용히
시대의 뒤안길로 가라앉을 것이다
아무리 숨고 숨어 살아도
자연의 에너지가 미치지 않는 곳은 단 한곳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