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44)
-
품격 / 20240926 / 목요일
오늘 공부는 품격이다먼저 사전적의미를 찾아 보자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있다품격(品格)물건품 격식격「1」 사람 된 바탕과 타고난 성품. ≒품.품격 높은 정치. 품격이 있는 행동. 품격을 떨어뜨리다.자연 많은 사람 틈에 섞이면 군계일학 격으로 그의 품격은 더욱 두드러져 보였다. ≪손창섭, 잉여 인간≫「2」 사물 따위에서 느껴지는 품위.품격 높은 상품. 품격 있는 음악회.그때, 마을에서는, 음식의 양이 많은 것에도 놀랐었지만 그 솜씨의 알뜰하고도 미려ㆍ준절한 품격에 더 감탄했었다. ≪최명희, 혼불≫부산 피난 시에, 송도에 크지는 않아도 품격 높은 요정을 경영하여 고관 재벌들을 손으로 맞았었다. ≪한무숙, 유수암≫인격(人格)사람인 격식격「1」 사람으로서의 품격.인격 모독. 인격 수..
2024.09.26 -
바른 공부란 / 20240925 / 수요일
공부에도 바른 공부가 있고 삐뚜러진 공부가 있는가?답은 있다물론 바른 것도 삐뚜러진 것도 사실은 없는 것이 맞긴 하다그러나 공부가 어느 정도의 선을 넘었을 때 할 수 있는 말이지아직 기초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바른 것과 삐뚜러진 것이 같은 거라고 없는 거라고 말하기는 어렵다공부란한마디로 불가능을 가능케 하기 위한 과정이다둘째 불확실한 것을 확실한 것으로 바꾸어 가는데 필요한 능력과 에너지를 갖추는 것이다추가한다면자신 앞에 보이고 들리는 모든 일을 어려움 없이처리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일단 이렇게 풀어 놓고 사전에는 무엇이라 말하는지 다시 한번 찾아보자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공부(工夫)장인공 남편부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힘.국어 공부. 입시 공부. 공부가 뒤떨어..
2024.09.25 -
불가능은 없다 / 20240924 / 화요일
인간을 만물의 영장이라고 한다왜 그럴까오늘의 공부는 불가능은 없다라는 명제를 가지고 공부를 한다가능과 불가능 그리고 만물의 영장의 근본적인 뜻은 무엇인지 사전적의미를 찾아 보자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가능(可能)가할가 능할능할 수 있거나 될 수 있음.통화 가능 지역.이 세상엔 가능이 있을 뿐 해서 안 되는 일은 없사옵니다. ≪박종화, 전야≫「반대말」 불가능(不可能)불가능(不可能)아니불 가할가 능할능할 수 없거나 될 수 없음.우리에게 불가능은 있을 수 없다.그는 예전부터 나의 세계에선 통용될 수 없는 불가능의 일을 척척 해치우는 데 선수권자였던 것이다. ≪최인호, 잠자는 신화≫「반대말」 가능(可能)컴퓨터는 이렇게 만물의 영장에 대해 풀이를 합니다만물의 영장"만물의 ..
2024.09.24 -
4대 성인 / 20240923 / 월요일
성인에 대해 컴퓨터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4대성인"은 일반적으로 인류 역사에서 큰 영향을 미친 네 명의 성인을 가리킵니다. 종교적이거나 철학적인 지도자들로, 각 종교와 문화권에서 존경받는 인물들입니다.전통적으로 4대 성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언급됩니다1. 예수 그리스도 (기독교) – 기독교의 창시자로, 사랑과 구원, 자비를 가르치셨습니다.2. 석가모니 (불교) – 불교의 창시자로, 깨달음을 통해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을 가르쳤습니다.3. 공자 (유교) – 유교의 창시자로, 인간관계와 윤리적 삶에 대한 가르침을 전했습니다.4. 소크라테스 (서양 철학) – 고대 그리스 철학자로, 진리 탐구와 도덕적 삶을 강조하였습니다.이들은 각자의 시대와 문화 속에서 중요한 사상과 가르침을 남겼으며, 오늘날..
2024.09.23 -
개천 지천 인천 / 20240922 / 일요일
개천절이 다가오면서 우리가 잘 모르고 살았던 지천절과 인천절에 대해서도 공부를 해봅니다사전적 의미와 컴퓨터의 개념을 풀어봅니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의 설명입니다개천절(開天節)열개 하늘천 마디절 단군기원(檀君紀元)「1」 『법률』 우리나라의 건국을 기념하기 위하여 제정한 국경일. 기원전 2333년에 단군이 왕검성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을 조선(朝鮮)이라 짓고 즉위한 날로, 10월 3일이다.「2」 『종교 일반』 ‘개천일’을 경절로 이르는 말지천(地天)『불교』 십이천의 하나. 땅을 맡은 신이다인천(人天)『불교』 인간계와 천상계의 중생. ≒천인. 다음은 컴퓨터가 알려주는 내용입니다개천절, 지천절, 인천절은 주로 단군 신화와 관련된 한국의 전통적 개념들이며, 한국 민족의 시원과 관련된 중요한 날입니..
2024.09.22 -
본질(나는 누구인가) / 20240921 / 토요일
모든 사물과 상황은 그 본래의 질량과 뜻이 있다오늘은 본질이 무엇인지 공부를 해 봅니다먼저 사전적 의미를 찾아 봅니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본질(本質)근본본 바탕질「1」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사물 자체의 성질이나 모습.생명의 본질.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본질.그 둘은 형태는 다르지만 실상 본질은 같다.「2」 사물이나 현상을 성립시키는 근본적인 성질.「3」 『철학』 실존(實存)에 상대되는 말로, 어떤 존재에 관해 ‘그 무엇’이라고 정의될 수 있는 성질.「4」 『철학』 후설(Husserl, E.)의 현상학에서, 사물의 시공적(時空的)ㆍ특수적ㆍ우연적인 존재의 근저에 있으면서 사물을 그 사물답게 만드는 초시공적ㆍ보편적ㆍ필연적인 것. 본질 직관으로 이것을 포착할 수 있다고 ..
2024.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