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44)
-
정의 / 20241201 / 일요일
오늘의 공부는 정의입니다알 것 같으면서도 어렵고 어려운 것 같으면서도 쉬운 단어 정의그 정의를 한번 풀어보겠습니다먼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의 기록을 살펴봅니다정의(正意)바를정 뜻의 : 바른 뜻. 또는 올바른 생각.지금까지 내가 살펴본 사전의 수많은 단어들 중에거 가장 간단하게 표현한 글이다정의(正義)바를정 옳을의「1」 진리에 맞는 올바른 도리.자유와 정의와 진리. 정의의 사도. 정의를 위하여 싸우다.「2」 바른 의의(意義).「3」 『철학』 개인 간의 올바른 도리. 또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공정한 도리.분배 정의. 사회의 정의를 실현하다.「4」 『철학』 플라톤의 철학에서, 지혜ㆍ용기ㆍ절제의 완전한 조화를 이르는 말.진리에 맞는 올바른 도리진리(眞理)참진 다스릴리「1」 참된 이치. 또..
2024.12.01 -
이사 / 20241130 / 토요일
이사 첫날 박종득아득히 닿은 낯선 공간빛 바랜 기억들이 새롭게 열리고손끝마다 설렘이 피어난다바람은 창문 틈새로 다정히 머물며낯선 공간을 새로이 불러주고벽에 걸린 시계는 내일을 밁는다손 때 묻은 물건들 마다수많은 어제들이 낯설게 잠들고그 위로 오늘의 햇살이 내려앉는다몸은 피로에 쌓여도마음은 커다란 나무가 되어새로운 가지를 뻗는다문득 스치는 불빛환히 드리운 내일의 꿈들이다그 빛은 미소 짓게 한다첫날의 설렘을 안고어둠 속 희망을 품은 채또 다른 나와 손을 맞잡고꿈을 두드린다202411300328_()_ ......................................면접관 박종득탁자와 탁자 사이말 없는..
2024.11.30 -
중도사상 / 20241129 / 금요일
오늘의 공부는 중도사상이다그 비스무리한 사촌들은 더러 잇는데 뜻이 영 다른다 어중개비, 진눈깨비, 반풍수 등이 있다이것 저것 다 찾아 보자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어중개비는 어중잡이의 경상도 방언 즉 경상도 사투리다어중잡이「1」 겉모양만 꾸미고 실속이 없는 사람. ≒어정.겉만 번지르르한 저런 어정잡이보다는 건실한 자네가 더 좋네.「2」 됨됨이가 조금 모자라 자기가 맡은 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사람.이번 일마저 끝마치지 못하면 게으른 어정잡이로 알려져 다시는 일하기 어렵다.그들은…부지런히 생업에 종사할 생각은 없이 어정잡이로 횡재만 바라고 있었다. ≪이기영, 봄≫진눈깨비 : 비가 섞여 내리는 눈.눈보라가 잦아들더니 진눈깨비가 추적거린다.운동장 흙은 진눈깨비가 녹은 다..
2024.11.29 -
진눈깨비 / 20241128 / 목요일
진눈깨비 초림 너와 나 사이희뿌연 경계가 내려앉는다차가운 것 같으나 차지 못하고따뜻한 것 같으나 따르지 못하는얼음의 망설임, 눈물의 우물내리는 것도 아니고녹는 것도 아닌 그 어중간함한 걸음 내딛기조차 주저하는사람들의 마음을 닮았구나누구는 말한다이 길이 옳다, 저 길이 틀렸다허공에 떠도는 답 없는 문장들이진눈깨비처럼 흩날린다아직은 바람 속에서서로의 온기를 모르는 채다른 눈송이를 밀어내며 쌓이다가어느새 흔적도 없이 스며들겠지하지만 진눈깨비야너도 알고 있지 않니혼돈의 끝엔 언젠가맑게 내리는 눈이 있음을우리 발밑엔 새 계절의 싹이움트고 있음을202411280524 진눈깨비 내리는 새벽_()_
2024.11.28 -
부드러움 / 20241127 / 수요일
부드러우면 다 보인다강하면 눈에 보이는 것이 없다화가 나면 눈에 보이는 것이 없다보이지 않는 것 뿐만 아니라들리는 것과 생각까지도 멈췃ㅓ물불 가리지 않고 문제를 더 크게 만들어간다이것이 자연법이고 섭리다부드러운 이는 리드가 되고 지도자가 되지만강한 자는 보스와 두목은 될 수 있으나지도자와 리드는 못된다부드러움이 무엇이며그 부드러움은 어디서 나오는가부드러움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실례: 진정한 부드러움의 본질과 가치1. 서론'부드러움'은 인간적 미덕과 삶의 미학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부드러움은 단순히 물리적 감각을 넘어, 성품, 태도, 행동에서 나타나는 특질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드러움의 정의를 심리학적, 철학적, 사회적 맥락에서 고찰하고, 진정한 부드러움의 실례를 제시하여 그 본질과..
2024.11.27 -
지혜는 스스로 일어나고 / 20241126 / 화요일
지혜는 스스로 일어나는 것이지 내가 지혜를 갖고 싶고 발휘하고 싶다고 생기는 것은 절대 아니다지혜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지혜(智慧/知慧)지혜지 슬기로울혜「참고 어휘」십바라밀(十波羅蜜), 육바라밀(六波羅蜜)「1」 사물의 이치를 빨리 깨닫고 사물을 정확하게 처리하는 정신적 능력.삶의 지혜. 지혜를 짜다. 지혜를 모으다. 지혜가 뛰어나다.문화 유적에는 조상들의 정신과 지혜가 담겨 있다.그는 자기를 위대하다고 아첨하는 자들을 멀리할 줄 아는 지혜를 가지고 있었다. ≪이병주, 행복어 사전≫조 원장은 역시 다스리는 자다운 지혜가 있었다.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비슷한말」 슬기, 지(知/智)「2」 『불교』 제법(諸法)에 환하여 잃고 얻음과 옳고 그름을 가..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