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3)
-
이유 / 20241224 / 화요일
세상에는 이유없이 일어나는 일은 단 하나도 없다그런데 이유를 알아야 하는데 그 이유를 알려고 하지 않고그저 탓하고 원망하고 짜증내고 불평불만하고 고집을 부리고 그렇게 살면서 점점 더 자신의 삶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모든 문제는 어려움에서 부터 시작하는데그 어려움의 이유가 무엇일까답은 아주 간단하다몰라서 그렇다모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알려고 노력해야한다그 알려고 노력하는 것이 공부이다그런데 세상만사형통의 답인 그 노력을 하지 않고남을 탓하며 점점 더 어렵게 살고 있다오늘의 공부는 이유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어떻게 기록되어 있는지 살펴본다이유(理由)다스릴이 말미암을유「1」 어떠한 결론이나 결과에 이른 까닭이나 근거.정당한 이유. 이유를 대다. 이유를 묻다.「비슷한말」 원인(原因)「2」 구실이나 ..
2024.12.25 -
벗 / 20241223 / 월요일
心마음이란 깊은 바다별을 품은 채 흔들리고불확실한 물결 속에서도여전히 빛을 내고 있네우리의 첫 만남은한 줌의 바람서로의 소리를 들으며같은 길을 걸었지생각은 우주를 떠돌고꿈은 별처럼 빛나고그 모든 시간 속에서너와 나는 한 조각의 빛을 나누었지이 세상의 언어가 다해도우리의 마음은 고요히 흐르고때로는 폭풍 속에서도서로를 찾아 헤매는우리가 있다는 것을기억이란 시간의 속삭임과거의 흔적이현재의 숨결이 되어미래의 길을 비추네너는 나의 깊은 밤의 별내 하루의 한 줄기 빛서로 다른 길을 걸어도우리는 결국하나의 별이 되어같은 하늘을 바라보리마음이란 결국 사랑그 속에서 우리가 함께영원히 살아가리라지금 이 순간너와 나의 소리로세상이 멈추고세상의 끝이 오더라도우리의 사랑은 끝이 없으리202412222204벗 됨을..
2024.12.23 -
감기 몸살 / 20241222 / 일요일
어제 동지 공부를 하느라 하루 넘어 오늘 감기와 몸살에 대해 공부를 해봅니다감기는 무엇이며 몸살은 무엇일까요사전을 찾아 보기 전에떠오르는 자신의 생각은 이것이다감기는 기가 감긴 것이며, 몸살은 몸이 살려달라는 신호다왜 기가 감겼으며 몸이 살려달라고 신호를 보낼까 하는 것은 모든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적 의미와 통용의 의미를 살펴본 뒤 풀어보자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감기(感氣)느낄감 기운기『의학』 주로 바이러스로 말미암아 걸리는 호흡 계통의 병. 보통 코가 막히고 열이 나며 머리가 아프다. ≒감모, 감모풍한, 풍한, 한질.감기가..
2024.12.22 -
동지 / 20241221 / 토요일
오늘의 공부는 본래 바이러스에 의한 가장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감기 등 호흡기 질환에 대한 공부를 하려고 했는데오늘이 동지라 동지 공부를 먼저 하고 감기 공부는 내일하겠습니다동지란 무엇인지 사전적 의미와 깊이 있는 풀이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동지(冬至)겨울동 이를지이십사절기의 하나.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동지점을 통과하는 때인 12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 북반구에서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동지에는 음기가 극성한 가운데 양기가 새로 생겨나는 때이므로 일 년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이날 각 가정에서는 팥죽을 쑤어 먹으며 관상감에서는 달력을 만들어 벼슬아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아세, 이신..
2024.12.21 -
바이러스 / 20241220 / 금요일
오늘의 공부는 바이러스다바이러스가 무엇인지사전적 의미부터 먼저 살펴보자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바이러스(virus)「1」 『생명』 동물, 식물, 세균 따위의 살아 있는 세포에 기생하고, 세포 안에서만 증식이 가능한 비세포성 생물. 핵산과 단백질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세균 여과기에 걸리지 않으며, 병원체가 되기도 한다. ≒여과성 미생물.에이즈 바이러스.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은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다.「2」 『정보·통신』 컴퓨터의 정상적인 동작에 나쁜 영향을 미치거나 저장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파괴하는 프로그램. 생물학에서 다루는 바이러스처럼 자기 자신을 복제하여 다른 컴퓨터에 전염시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컴퓨터 통신이나 불법 복사를 통하여 활동 범위를 넓혀 간다. =컴퓨터..
2024.12.20 -
나는 누구인가 / 20241219 / 목요일
나는 누구인가참 난해한 질문이다나는 나다라고 답한다면 맞는 답인 것 같기도 하고 말도 안되는 소리이기도 하다나는 생물체다다는 동물이다여기까지는 맞는 것 같다나는 인간이다 人間 인간은 짐승과 사람의 중간에 있는 생물체다그래서 중생이라고 하는 것인가인간은 길고 짧은 것이즉 날난 자와 못난 자가 서로 기대어 사는 것이 인간이다맞는 것 같기도 하지만 말도 안되는 소리 같기도 하다나는 사람이다 영혼불멸이 맞다면 나는 불사신이다컴퓨터에게 물어본다"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철학적, 과학적, 종교적, 사회적 관점에서 깊이 있게 탐구될 수 있으며, 각 관점은 우리가 자신을 이해하는 방식을 다르게 제시합니다. 이 질문을 통해 우리는 존재의 본질, 인간의 의식, 도덕적 책임, 사회적 역할, 그리고 우리의 미래에..
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