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과 부정 / 20240930 / 월요일

2024. 9. 30. 07:05카테고리 없음

인간으로 태어나 살다 가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어떤 생각으로 어떤 말을 하고 어떤 행동을 하고 살다 가느냐가

그 사람의 인생이고 그의 발자취가 된다

그런데 그것을 결정하는 결정적 요소가 몇가지 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긍정적 생각이다

인간은 자신이 스스로 씨를 뿌리고 그것을 거두며 살아간다

그 씨가 자신의 현실이다

문제는 매사에 삐딱하게 사는데도

잘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왜 그런지 공부를 해야 알게 된다

정작 그 당사자는 모른다

지금 잘 사는 것은 전생록에 의한 것이며

늘 남들의 교과서로 본보기로

자신을 희생하고 살기 때문이다

즉 남에게 보여주기 식 인생을 살다가는

샘플로 살다가는 것이지

자신의 인생을 살다가지 못한 인간들은

빚쟁이 도표인 족보를 보면 그 아래로 내려가면서

줄줄이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물을 부으면 좀처럼

다시 높은 곳으로 올라 가는 것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어떻게 하든지

아래로 아래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

자연의 섭리니까

먼저 긍정이 무엇인지 부정이 무엇인지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긍정(肯定)옳게여길긍 정할정

「1」 그러하다고 생각하여 옳다고 인정함.

  • 내 의견을 듣고 친구는 긍정의 뜻으로 고개를 끄덕였다.
  • 최 서방은 얼떨결에 부정도 긍정도 아닌 어중간한 대답을 했다. ≪박완서, 미망≫
  • 칠병이는 강차석의 침묵을 자기 말의 긍정으로 받아들였는지 한술 더 떴다. ≪김원일, 불의 제전≫

「반대말」 부정(否定)

「2」 『철학』 일정한 판단에서 문제로 되어 있는 주어와 술어와의 관계를 그대로 인정하는 일. ‘S는 P이다.’라는 형태의 명제를 참이라고 승인하는 것이다.

「반대말」 부정(否定)

부정(不正)아니불 바를정

  • 「참고 어휘」비리(非理)
  • 올바르지 아니하거나 옳지 못함.
  • 부정 축재. 입시 부정. 부정을 방지하다. 부정을 저지르다.
  • 남달리 정의감과 결벽성이 세기 때문에 사소한 부정이나 불의를 보고도 참지 못하는 그는…. ≪손창섭, 잉여 인간
  • ‘부정(不正)’은 ‘불정’으로 적지 않고 ‘부정’으로 적는다. ‘不’이 첫소리 ‘ㄷ, ㅈ’ 앞에서 ‘부’로 읽히는 단어는 바뀐 대로 적어야 하기 때문이다.

긍정의 사전적 풀이는

그렇다고 생각하여 옳다고 인정함

또는 주어와 술어의 관계를 그대로 인정함

부정의 풀이는

올바르지 아니하거나 옳지 못함

이리 살든 저리 살든

각자의 삶이니 내가 누구를 이래라 저래라 할

자격은 전혀 없다

그러나

한 칠십년 정도 살다 보니

먼저 살아가거나, 간 수많은 사람들 중에

삐딱하게 살아온 자의 노후나 사후가 빛나는 것을 본 사례는

단 하나도 없다

그보다 나 자신이

부정적 생각을 하고 살면서 제대로 되거나 이룬 것이

단 하나도 없다는 사실이다

자신의 생각이

입을 통해 밖으로 나오거나

행동을 통해 밖으로 나오는 순간부터

대자연은 인간을 돕기 위해 존재하기 때문에

저 인간은 저것을 원하는가 보다 하고 그 쪽으로 에너지를 모으게 된다

자신의 조상신들고 인근에 자신에게 뭔가 기대고 있는 신들도

모두가 그 쪽으로 향하게 되어 있다

사람은 생각에 의해 말하고 행동한다

그렇지 아니한 부류는 너무 어려 생각이 정립되지 않았거나

정신병 혹은 몽류병 환자 그리고 늙어 정신줄을 놓은 사람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생각에 의해 말하고 행동하며 산다

그 말고 행동이 하루 이틀 한달 두달 1년 2년 십년 이십년이 지나면

그것이 습관이 되고

그것이 자신의 인생이 되는 것이다

콩을 심으면 콩이 나고 그 콩은 자신이 거둔다

남을 비난하고 탓하고 불평불만하고 짜증을 내고 화를 내면

그것이 백배 천배로 불어 자신에게 모두 되돌아 온다

이래나 저래나 모두 자신이 뿌리고 자신이 거두며 사는 것이

인생이고 자연의 섭리다

인생은 지하기 나름이니

알아서 할일이다

오늘도 함께 해주신 분들의

건강과 발전과 평온을 축원합니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