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20240911 / 수요일

2024. 9. 11. 07:12카테고리 없음

일이 무엇인지 오늘은 일에 대해 공부를 해 봅니다

우리는 인간으로 태어나 이 시대를 바르게 잘 살려면

무슨 일이든지 반드시 일을 해야 하고

그 일에서 모든 것을 얻을 수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사람이 바른 일을 하면 일이 생기지 않고 그 일을 계속할 수 있지만

일을 일 같이 하지 않으면 일이 생겨

기존에 하고 있는 일을 할 수 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일 같지 않은 일을 하거나

제대로 된 일을 한다고 해도 일 같지 않게 하면

일이 생겨 일 같은 일을 못하게 하는 것이

우주의 원리고 자연의 섭리다

일에 대해

먼저 사전적 의미를 찾아 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1」 무엇을 이루거나 적절한 대가를 받기 위하여 어떤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몸을 움직이거나 머리를 쓰는 활동. 또는 그 활동의 대상.

  • 일을 마치다. 일을 하러 나가다.
  •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그는 일밖에 모른다.
  • 그녀는 회사에 출근하면 온종일 일에 파묻혀 지낸다.
  • 매일 아침 일찍 운동을 다니는 일은 보통 힘든 게 아니다.

「2」 어떤 계획과 의도에 따라 이루려고 하는 대상.

  • 일을 꾸미다. 일이 꼬이다. 일이 잘 진행되고 있다.

「3」 어떤 내용을 가진 상황이나 장면.

  • 지난 일을 돌이켜 보다. 미래의 일을 상상하다.
  • 엄마에게 혼날 일을 생각하니 눈앞이 깜깜하다.

「4」 사람이 행한 어떤 행동.

  • 좋은 일을 하다. 네가 그런 일을 할 줄은 몰랐다.

「5」 해결하거나 처리해야 할 문제. 또는 처리하여야 할 행사.

  • 집안에 크고 작은 일이 잦다. 아버지는 구청에 일을 보러 가셨습니다.
  • 무슨 일로 오셨습니까?

「6」 문젯거리가 되는 현상.

  • 무슨 일이 있니? 오늘 뜻밖에 일이 터져 정신이 없었다.

「비슷한말」 말썽

「7」 처한 형편이나 사정.

  • 도움을 줄 친척이 하나도 없어 일이 딱하게 되었다.

「8」 과거의 경험.

  • 나는 해외여행을 가 본 일이 있다.

「9」 어떤 상황이나 사실.

  • 너의 형이 대학에 떨어졌다니! 슬픈 일이다.
  • 절대로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 생겼다.

「10」 ((동사의 관형사형 뒤에 쓰여)) 그 동사의 행위를 이루는 동작이나 상태를 이르는 말.

  • 그는 한 번도 화를 낸 일이 없다.

「11」 용변(用便)이나 성교(性交) 따위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

  • 친구 하나가 화장실로 일을 보러 갔다.
  • 술을 너무 먹어 결혼 첫날밤에 일을 치르지 못했다.

「12」 ((‘-ㄹ/을 일로/일이다’ 구성으로 쓰여)) 마땅히 그렇게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불만이 있어도 네가 참을 일로 보인다.
  • 어른이 부르면 빨리 대답할 일이다.

「13」 『전기·전자』 물체에 힘이 작용하여 물체가 힘의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였을 때에, 힘과 거리를 곱한 양.

어원

· 일<용가>

관용구/속담

속담일 다 하고 죽은 무덤 없다

일은 하려고 하면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 ≒시키는 일 다 하고 죽은 무덤은 없다.

속담일도 못하고 불알에 똥칠만 한다

뜻하던 일을 하지 못하고 도리어 낭패만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일 못 하는 늙은이 쥐 못 잡는 고양이도 있으면 낫다

불필요한 것처럼 보이던 것도 쓸데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일 안 하는 가장

있어도 제구실을 하지 못하고 소용없게 된 사물이나 사람을 이르는 말. =쥐 안[못] 잡는 고양이라.

속담일에는 베돌이 먹을 땐 감돌이

일을 할 때에는 뺀질뺀질거리며 피하다가 먹을 때에는 더 많이 얻으려고 하는 사람을 비웃는 말.

속담일은 송곳으로 매운 재 긁어내듯 하고 먹기는 도짓소 먹듯 한다

일은 제대로 해내지도 못하면서 먹기는 많이 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일은 할 탓이고 도지개는 맬 탓

일의 능률은 자기 하기 나름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일을 하려면 어처구니 독 바르듯 하고 삼동서 김 한 장 쳐부수듯 메로 새알 부수듯 하라

일을 하려면 우물쭈물하지 말고 신속하게 해치워야 한다는 말.

속담일이 되면 입도 되다

일이 많으면 그만큼 먹을 것도 많이 생긴다는 말.

속담일 잘하는 아들 낳지 말고 말 잘하는 아들 낳으라

말을 잘하면 남들과 사귀면서 살아가는 데 유리함을 이르는 말.

일에 대한 설명이 다소 길지만 꼭 읽어 보는 것이

삶에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다음은 컴퓨터가 생각하는 일은 어떤 것인지 알아 봅니다

인간의 삶에서 일은 여러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순히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넘어, 일은 개인의 정체성, 자아실현, 사회적 관계, 성취감 등 다양한 측면에서 깊은 의미를 가집니다. 이를 몇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생존과 생계 유지: 일은 사람들이 경제적인 자원을 얻어 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인간은 일을 통해 수입을 얻고, 이를 통해 의식주와 같은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2. 자아실현과 성취감: 많은 사람들에게 일은 자신을 발전시키고, 목표를 이루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입니다. 자신이 맡은 일에서 성취를 느끼거나 도전 과제를 극복할 때, 개인은 자아실현의 기쁨을 경험하게 됩니다.
  3. 사회적 관계: 일은 사람들 간의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 연결망을 확장하는 중요한 통로입니다. 동료와의 협업, 상사와의 소통 등을 통해 개인은 사회 안에서 역할을 인식하고, 인간관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4. 정체성과 자부심: 사람들은 자신이 하는 일에서 정체성을 찾기도 합니다. '나는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가'는 종종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부분이 됩니다. 또한,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느끼는 것은 삶의 만족도와 직결됩니다.
  5. 시간과 구조: 일은 인간의 삶에 일정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규칙적으로 일을 수행함으로써 삶의 리듬을 유지하고, 목표 지향적인 생활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6. 사회적 기여: 일을 통해 개인은 자신이 속한 사회나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하는 일이 사회의 발전이나 타인에게 도움이 될 때, 일에 대한 의미가 더욱 커집니다.

결국, 일은 인간의 삶에서 단순한 노동을 넘어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생존과 생계유지, 자아실현과 성취감, 사회적 관계,

정체성과 자부심, 시간과 구조, 사회적 기여 등 일은 단순 노동을 넘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 중요한 요소라고 풀어내고 있습니다

컴퓨터 : 인간이 만든 도구 중에 인간을 교육시키는 유일한 돌입니다

돌이 생각하는 것 보다

더 낮은 단계의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이

슬픈 일입니다

오랫만에 단비가 내리는 아침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예감이 듭니다

오늘은 강의 가는 날인데 기본 강의 내용 외 어떤 이야기를 해주면

수강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 하고

생각을 해봅니다

글을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와 고마움을 전하며

건강과 발전과 평온을 축원합니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