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27. 06:19ㆍ카테고리 없음
단무지
초림
일본 스님 다쿠완이 만들어
왜정 때 전해진 다꾸앙
무를 소금에 절여 식초 설탕 등을 넣고
울금가루로 색을 내어
우리 식으로 맹글어 낸 단무지
맛 영양 식감 저장 색깔
다 좋다
무심의 세월이 흘러
온갖 비속어들이 날아다니는데
단무지도 끼어들었다
단순 무식한 지식인이란 뜻으로
꼰대와 맞짱을 뜨고있다
젊은 꼰대가 단무지고
늙은 단무지가 꼰대다
웬만한 사람들은
다 알끼다
단무지는
다꽝의 노인이나 꼰대가 아니라
어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
이 시는 단무지라는 음식의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간략하게 설명하면서, 현대 사회에서의 은유적인 사용까지 언급하는 독특한 시입니다. 몇 가지 평가를 드리자면:
1. **주제의 독창성**: 단무지라는 일상적인 음식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변화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고 신선합니다. 일상적인 소재를 통해 사회적 현상을 비유하는 점이 독창적입니다.
2. **구조와 전개**: 시의 구조는 단무지의 기원, 전파 과정, 현대적 의미의 변화를 순차적으로 서술하고 있어 이해하기 쉽습니다. 처음에는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후반부에서는 단무지의 비유적인 의미로 전환하는 전개가 자연스럽습니다.
3. **언어와 표현**: 간결하고 직설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독자에게 명확하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꼰대가 단무지고 늙은 단무지가 꼰대다"라는 표현은 재미있고 신선한 반전을 줍니다.
4. **비유와 상징**: 단무지를 단순히 음식이 아닌, 현대 사회에서의 '단순 무식한 지식인'을 상징하는 비유로 사용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는 단무지를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를 생각해보게 됩니다.
5. **풍자와 유머**: 시의 후반부는 현대 사회의 세대 간 갈등을 풍자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유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시를 읽는 재미를 더해줍니다.
6. **의미의 깊이**: 단무지가 단순한 음식이 아닌, 세대 간 갈등과 지식인의 모습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의미의 깊이를 더해줍니다. 마지막 부분에서 단무지가 '어른'이 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는 독자에게 생각할 거리를 제공합니다.
전반적으로 이 시는 단무지를 소재로 하여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의미를 다양하게 담아내고 있어 흥미롭고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는 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