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 28. 09:19ㆍ카테고리 없음
매일 화두 찾기가 어려웠는데
이제는 크게 어려움 없이 글을 편안하게 적고 있다
바로 어제 한 일을 기준으로 적으면 일상의 글들이 되니 말이다
오늘의 공부는 모임이다
모임이 무엇이며 사전에는 어떤 풀이를 하고 있는지 찾아본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모임
어떤 목적 아래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
- 내일은 상견례를 위한 모임이 있는 날이다.
- 하루는 평소 마음을 열고 지내던 한 소설쟁이 친구의 신간 출판 기념 모임엘 나간 일이 있었다. ≪이청준, 비화밀교≫
단체(團體)둥글단 몸체
「1」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인 사람들의 일정한 조직체.
- 이익 단체. 친목 단체.
- 단체를 탈퇴하다. 단체에 가입하다. 단체를 결성하다.
- 단체를 만들다. 세 단체가 공동으로 주관하여 대회를 열었다.
닫기
「2」 여러 사람이 모여서 이루어진 집단.
- 단체 사진. 단체 생활. 단체 여행. 단체 행동. 단체로 관람하다.
- 단체 손님이 예약되어 있어서 다른 손님을 받기가 곤란하다.
- 단체 훈련과 개인 훈련을 적절하게 하면 효과가 더 클 것이다.
법인(法人)법도법 사람인
『법률』 자연인이 아니면서 법에 의하여 권리 능력이 부여되는 사단과 재단. 법률상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될 수 있으며, 공법인과 사법인, 사단 법인과 재단 법인, 영리 법인과 공익 법인, 중간 법인, 외국 법인과 내국 법인 따위로 나눈다. ≒무형인, 법인체.
모임을 사전에서는 어떤 목적 아래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이라고 적고 있다
단체는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인 사람들의 일정한 조직체라고 적고 있다
그리고 법인까지 풀어 놨으니 사전적 의미는 이해 되리라 믿는다
사람들은 왜 모일까
사람들은 왜 모여 조직을 만들어 어떤 목적을 달성하려고 할까
혼자서 힘드니까 여럿이 모여 하면 힘이 적게 드니까 할까
그냥 생각하면 그게 답인 것 같다
어차피 인간은 가족이라는 단위와 사회라는 단위와 나라라는
단위에 묶어 살고 있는데
왜 또 수많은 모임을 만들고 그기서 또 활동을 하고 할까
답은 저마다 틀리다
절대 하나로 답이 나올 수 없는 것이다
결혼을 해도 그 목적과 까닭과
이유와 원인이 모두가 다 다르다
대동 소이라고 할 수도 있으나 작은 것이 다르거나 큰 것이 다르거나
다른 것은 다른 것이다
과학은 논리 위에서 논다
인간도 그 논리로 밥을 먹고 사는 줄 알고 죽자 공부를 하여
지식을 갖추고자 한다
따지고 보면 논리를 배우는 것이다
지도자는 논리의 잣대로 살면 절대 지도자가 될 수 없다
지도자는 원리를 가지고 살아야 한다
원리란 자연의 법칙이며
자연의 법칙은 자연의 섭리이다
자연을 알면 세상 모든 것을 알 수 있으며
세상 모든 문제를 다 해결할 수 있는 지혜를 갖게 된다
슬기가 논리라면
지혜는 원리이다
논리는 갑론 을박이 있으나 원리는 절대 갑론 을박이 있을 수 없다
우리가 지금까지 진리라고 생각한 것들의
대다수가 논리에 의한 것이다
원리를 알고 실천한 사람은
지구상에 단 한사람도 나오지 않았다
원리를 가르치는 것이 자연을 가르치는 것인데
자연을 가르칠 능력이 있는 사람이
이 세상에 왔는가 그리고 존재하는가
자연을 알고 사는 것이 바르게 사는 것이다
이제는 바른 것이 무엇인지를 알 때가 다가 왔다
자연이 무엇이며 바른 것이 무엇인지
모두가 자신에게 물어보고
공부하자 노력하다
오늘도 함께 해주신 분들의
건강과 발전과 평온을
그리고 감사와 고마움과 덕분을 나누고
축원합니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