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 23. 07:26ㆍ카테고리 없음
새벽 창문을 여니 냉기가 뭉터기로 몰려 들어온다
하늘은 여전히 눈을 내리깔고 인상을 쓰는지
별이 다 숨어버리고 보이질 않는다
오늘은 이타와 덕행에 대해 알아보고 상호 관계도 풀어본다
먼저 사전적의미를 찾아보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이타(利他)이로울이 다를타
「1」 자기의 이익보다는 다른 이의 이익을 더 꾀함.
- 이타 정신.
「반대말」 이기(利己)
「2」 『불교』 자기가 얻은 공덕과 이익을 다른 이에게 베풀어 주며 중생을 구제하는 일. ≒타애.
이기(利己)이로울이 몸기
자기 자신의 이익만을 꾀함.
- 나는 내 철면피한 이기가 구역질이 나서 침을 뱉었다. ≪김성동, 만다라≫
「비슷한말」 애기(愛己)
「반대말」 이타(利他)
덕행(德行)덕덕 큰덕 다닐행 행할행
어질고 너그러운 행실.
- 덕행을 갖추다. 덕행을 닦다. 덕행을 쌓다.
실천1(實踐)열매실 밟을천
「1」 생각한 바를 실제로 행함.
- 그는 결심을 실천에 옮겼다.
- 한번 여자를 구해 보기로 맘을 정했으면 주저 말고 실천에 옮겨야 합니다. ≪윤흥길, 묵시의 바다≫
「2」 『철학』 인간의 윤리적 행위.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는, 제작(製作)이나 관조(觀照)와는 구별되는 도덕에 관계되는 행동을 뜻한다.
「3」 『철학』 자연이나 사회를 변혁하는 의식적이고 계획적인 모든 활동. 마르크스주의는 물질적 생산 활동이 기본적 형태이며 계급 투쟁이나 과학의 실험 따위도 포함한다. 또한 인식이나 이론을 검증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이타와 덕행이란 단어를 사전에 찾으니 너무나 간단하게 나와 있어
스스로 놀랐다
이타 : 자기의 이익 보다 다른 이의 이익을 더 꾀함
덕행 : 어질고 너그러운 행실
어질다 : 마음이 너그럽고 착하며 슬기롭고 덕이 높다.
- 그녀는 어딘지 위엄을 풍기면서도 조용하고 어질어 보였다.
- 강포한 힘이 도저히 어진 덕을 이겨 내지 못하는 법이라, 장군은 어찌 남의 나라를 강포한 위력으로만 무찌르기를 주장하는가. ≪박종화, 임진왜란≫
너그럽다
「1」 마음이 넓고 아량이 있다.
- 너그러운 태도. 성품이 너그럽다.
- 그는 내 독기 어린 시선에 굴하지 않고 어디까지나 너그럽고 희미하게 웃었다. ≪박완서, 도시의 흉년≫
「비슷한말」 관대하다(寬大하다)
「2」 폭 따위가 여유 있게 넓다.
「3」 경사가 급하지 아니하다.
- 너그러운 산세.
「4」 움직임이 완만하다.
- 너그러운 물 흐름.
사전에 풀이는 참 힘들다
서로가 서로의 풀이에 이용되고 있는 모습이 아이러니다
그러니까 그보다 더 쉽게 풀이가 어렵다는 뜻이다
사전이란 어려운 것을 쉽게 이해되게 풀어주고
뜻이 잘 이해되지 않는 단어들을 이해되게 풀어 주는 것이
사전이라고 알고 있는데
빚을 감당하기 힘든이들이 카드로 돌려막기 하는 것과 같은 풀이에
참 난감하다는 생각이 든다
한글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이만큼 부족하다는 뜻일까
이제 머지 않아 수십억명의 외국인들이
우리말을 배우고 우리나라 문화를 배우기 위해 들이 닥칠 것인데
그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 서로의 말로 서로를 대변하고 있으니
한글을 모국어로 사용하고 거의 70여 년을 살면서 보고 듣고 배우고
글을 알고 나서부터는 거의 책을 놓지 않고 살았는데
이런 현상이니 가히 난감하다
각설하고
이타란 이기를 깨우치고 나서 나타나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아직 이기적으로 살고 있는 사람들
즉 지도자라고 말하는 윗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자기 자신도 모르고 이기 조차도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들이다
학벌과 변호사 무슨 장 무슨 대표하며 직위와 스팩은 화려하다 못해
무슨 스팩 백화점 같은데
하는 짓거리를 보면 즉 말과 행동을 보면 참으로 유치 찬란하다
그런 사람들은 이제 스스로 부끄러움을 알고
물러나거나 공부를 더하거나 지구촌을 떠나 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나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하는 것 같다
초등학교를 졸업했으면 이제 초등학교를 떠나야지
아직도 미련을 가지고 그곳에 남아 빙빙 돌고 있다는 것이 참참참이다
이기가 무엇인지 이타가 무엇인지
내가 뭣하려 인간으로 태어 났는지
자신은 어떤일을 하고 어떻게 살았는지
자신에게 물어 봐라
여자들이 남자들 보다 평균적으로 오래 사는 것은
거울을 남자보다 많이 보기 때문이라는데
그 속의 자신을 자주 보기 때문이라는
개똥 철학적 과학적 뒷받침이 될 수도 있다
남의 것을 벤치마킹 하려거든 제대로 하고 어디서 어떻게 가져 왔다고 해야지
표절과 지식을 훔치는 것은 용서가 안된다
아무리 허접한 개똥철학이라도
이제는 자기 것을 내어 놓아야 하는 시대가 왔다
오늘도 함께 해주신분들의
건강과 발전과 평온을
그리고 고마움과 감사함과 덕분을 나누고
축원합니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