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새벽 / 20230919 / 화요일

산도초림 2023. 9. 19. 04:56

 

언제 들어도 설레이게 하는 말 새벽

새로움과 시작의 의미를 가지고 늘 꿈과 희망을 주는 말

단어 하나에도 질량이 있고 에너지가 있다

 

오늘은 새벽의 에너지를 풀어보자

먼저 사전적 의미를 찾아본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표기 되어 있다

새벽

「1」 먼동이 트려 할 무렵. ≒효단, 효신.

  • 새벽을 알리는 닭 울음소리.
  • 이른 새벽이라서 오가는 사람이 별로 없다.
  • 내일은 새벽에 일어나 첫차를 타야 한다.

더 보기

「비슷한말」 갓밝이, 개동(開東), 파효(破曉), 평단(平旦)

「2」 ((주로 자정 이후 일출 전의 시간 단위 앞에 쓰여)) ‘오전’의 뜻을 이르는 말.

  • 새벽 한 시.
  • 나는 새벽 세 시경에 병원에서 태어났다.
  • 우리들은 새벽 두 시가 될 때까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잤다.

더 보기

어원 · <새박<원각>/새배<영가>

관용구/속담

속담새벽 봉창 두들긴다

「1」 한참 단잠 자는 새벽에 남의 집 봉창을 두들겨 놀라 깨게 한다는 뜻으로, 뜻밖의 일이나 말을 갑자기 불쑥 내미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다가 봉창 두드린다.

「2」 너무나도 뜻밖의 일을 당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새벽에 갔더니 초저녁에 온 사람 있더라

부지런히 하느라고 애썼는데 그보다 앞선 사람이 있을 경우에 이르는 말.

속담

새벽

호랑이(가) 중이나 개를 헤아리지 않는다[아니한다]

다급해지면 무엇이든지 가릴 여지가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흘 굶은 범이 원님을 안다더냐, 새벽 호랑이 쥐나 개나 모기나 하루살이나 하는 판, 호랑이가 굶으면 환관도 먹는다.

 

새벽이란 한마디로

자정이 지나 하루의 시작에서 해뜨기 전까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보면

가장 가까운 의미라 생각되고 이것은 시간적 개념이다

 

그러나 나의 새벽은 시간적 개념을 넘어

뭔가 새로운 것을 일구는 시발점이다

자다가 일어나면 2시일 때도 있고 3시일 때도 있다

오늘도 3시에 일어나 잠자기 보다는 명상을 하고 글을 적는다

 

 

새롭게 추가된 강의

그 자료를 만드는 게 마음처럼 쉽지가 않다

강의가 힘든 것이 아니라 강의 자료를 만드는 과정이 더 힘들다

강의 자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공부는 얼추 다 되었고

지식 전달이 강의의 주 목적이라면

핵심적인 요소들을 정리해서 수강자들이 잘 이해되게 설명하면

그것으로 끝이다

그러나 그 과정이 결코 쉽지는 않다

 

왜 이 강의를 굳이 공부를 해야 하는지를 수강자들이 알아야 하고

향후 현장에 근무를 할 때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해

이해되게 설명을 해야 전달이 제대로 된다

 

세상의 거의 대다수 사람들이

몰라서 못하는 경우와

알고도 행하지 않는 두가지 경우의 수가 가장 많다

몰라서 못하는 것은 배우면 된다

그러나 알면서도 행하지 않는 것은 참 어렵다

이 경우를 위해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이 시대의 가장 큰 문제점들은

말하지 않아도 각종 언론 매체들이 우리들에게 다 잘 보여주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 철학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이타는 이기에게 밀려 설자리를 잃었다

특히 집단 이기주의는

우리 사회와 국제사회에 엄창난 문제를 불러 일어키고 있다

 

그러나 정작 그들은 전혀 모르쇠로 일관하면서

그것이 답인 양 밀고 나간다

그 댓가는 머지 않아 나타난다

자신과 가족들과 자식들이 다 짊어지고 가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는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다

 

자연은 절대 거짓이 없다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

뿌린대로 거두는 자연의 섭리는 만고의 불변이다

 

새벽을 심고 새벽을 일구는 사람은

새벽처럼 바쁘게 살겠지만

그래도 늘 신선하다

 

오늘도 꿈을 먹고 사는 이들에게

평온과 발전과 건강을 축원드리며

고마움과 감사와 덕분을 .....

 

_()_